구정 설날 명절 유래, 차례상 차리기와 순서 알아보아요
설날, 곧 다가오는 구정에는 조상님께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고, 가족들의 장수 기원과 다복, 안녕을 기원하며, 어른들에게 세배를 올리고, 차례를 지내는 날입니다.
차례상을 차리는 것은 단순한 의례가 아니라, 가족이 함께 모여 조상을 기리고 화목을 다지는 소중한 시간입니다. 그래서 아래 내용에서는 차례상 차리기와 순서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정 설날 명절 유래
설날이란 '설'이라는 단어는 '설다', '낯설다'라는 뜻에서 유래하여,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낯선 기분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구정이란 을미개혁에 따라 1896년부터 태양력이 시행되면서 음력이 폐지되었으나 양력은 낯선 것이었고, 그동안 음력에 맞춰 살아온 사람들은 음력 1월 1일을 새해 첫날로 보냈습니다.
구정의 기원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농경 사회에서 풍요를 기원하고 한 해의 시작을 축하하는 의례에서 비롯되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세배는 새해를 맞아 어른께 세배를 드리고 세뱃돈을 받는 풍습은 어른을 공경하는 마음을 배우고, 가족 간의 화목을 다지는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민속놀이이란 윷놀이, 널뛰기, 연 날리기 등 다양한 민속놀이를 즐기며 정을 나뉩니다.
구정 차례상 차리기와 차례 순서
구정 명절 차례 순서로는 신위 배치, 음식 배치, 음식 배치 시 주의사항, 기타 음식, 차례 순서 등이 있습니다.
1. 신위 배치
병풍 앞 중앙에 신위를 모시고, 그 앞에 떡국과 수저를 놓습니다. 신위의 수에 맞춰 떡국과 수저를 준비합니다.
2. 음식 배치
1열(밥과 국), 2열(구이), 3열(탕), 4열(포와 나물), 5열(과일) 등의 순서로 배치합니다.
☞ 어동육서, 두동미서 : 생선은 동쪽, 육류는 서쪽에 놓고, 생선의 머리는 동쪽을 향하게 합니다.
☞ 좌포우혜 : 포는 왼쪽, 나물은 오른쪽에 놓습니다.
☞ 조율이시 : 과일은 대추, 밤, 감, 배 순으로 놓습니다.
☞ 홍동백서 :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습니다.
3. 기타 음식
식혜, 떡, 전, 탕 등 다양한 음식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지역이나 가문에 따라 준비하는 음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4. 차례 순서
향을 피우고, 절을 올린 후 음식을 상에 냅니다. 가족들이 차례대로 조상님께 절을 올립니다.
설날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소중한 명절입니다. 차례를 통해 조상의 은혜에 감사하고 가족과 함께 소중한 시간을 보내는 것은 우리의 전통을 이어가는 의미 있는 일입니다.
앞에서 설명한 구정 명절의 유래와 차례상 차리기에 대한 이해를 높였기 바랍니다. 올해 설날에는 가족과 함께 정성껏 차린 차례상 앞에서 조상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새해 복을 기원하며 뜻깊은 시간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이상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